이사를 가게 되어서 인터넷 TV 통신사를 변경하는 방법을 다시 알아 보았다. 통신사를 유지하는 것보다 옮기는 게 더 이득인 것 같다. 그런데 몇 년 전이라 어떻게 했었는지 벌써 기억이 안 나서 인터넷에 검색해 보았다. 주변에 은근 아는 사람도 없어서 알아서 해야 했다. 왜냐면 인터넷 TV 요금제 내는 게 내 명의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부모님 대신 내가 알아보게 되었다…
일단 구글에 검색해보니 여러 업체가 나왔다. 아정당, 모두이사, 미소, 렌트리,영구크린 등 원래 광고 표시되어 있는 사이트들 누르는 거 싫어하는데 검색창에 광고 표시된 사이트가 대부분이라 어쩔 수 없이 눌렀다. 인터넷에서 바로 견적을 확인하는 방법은 보통 40얼마까지 가능하고 전화 상담을 해야 보조금을 더 받는 것이 가능하다. 그래서 각 업체의 홈페이지에 번호를 남겨 놓고 전화가 오는 것을 기다리면 된다. KT를 쓰고 있었는데 SKT, LG 중 한 통신사가 보조금을 훨씬 많이 준다고 해서 그 쪽으로 옮기기로 했다. 그리고 업체마다 보조금 금액이 많이 달랐다. 비슷한 곳들도 있었지만 보통 TV 인터넷 요금제 약정은 3년 모바일은 1년 정도인 것 같다. 그리고 인터넷 TV랑 모바일도 함께 옮기면 보조금을 더 주는 것 같아서 통신사 장기고객혜택이 쓸모 있는 게 거의 없기 때문에 이럴 때 옮기는 게 나은 것 같다. 아무튼 앞에서 언급한 업체 중 한 곳에서 진행하기로 하였다.
전화 상담할 때 기사님에게 드릴 설치비가 얼마인지, 언제 어떤 방식으로 지급 받는 것인지(현금인지, 당일 지급되는지 등) 확인하는 것이 좋다. 상담원분께 잘 말씀드리면 보조금 금액이 달라질 수도 있는 것 같다. 업체와 상담하는 과정에서 기존 통신사 인터넷 TV 요금제 해지랑 새로운 통신사로 번호이동 하는 것 모두 알아서 처리해 주셨는데 이 때 전화를 여러 번 받으면 된다. 통신사를 옮겨서 폰을(모바일) 새로 개통할 때 PASS랑 카드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. 그리고 주민번호 뒷자리까지 필요한 것 같다! 아무튼 전화받느라 시간을 꽤 많이 뺏겼다. ㅠ 그리고 이사가는 곳이 경우에 따라 1G가 안 되고 500mb로 제한이 있는 곳일 수도 있다.
요약하면
- 업체에 전화번호 남기고 견적을 많이 받자.
- 보조금 지급 방법 설치비 유무 확인하자.
- 전화번호 안 남겼는데 먼저 인터넷 TV 통신사 변경으로 전화 거는 사람들은 사기꾼들이다. 사기를 당하지는 않았지만 경험담임ㅠ